본문 바로가기
반려동물 이야기/반려동물

반려견이 사랑스러운 이유 : 늑대에겐 없고 개에게만 있는것

by 더운북극여우 2024. 3. 7.
728x90
반응형

반려견이 사랑스럽게 느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반려견과 상호 작용도 있겠지만 표정 또한 한 몫을 하는게 분명하다고 생각합니다. 개들에겐 특별한 것이 있는데 바로 표정입니다. 개의 조상으로 알려진 늑대에겐 없지만 개에게만 특별히 존재하는 LAOM(눈 윗근육)과 RAOL(눈 옆근육)으로 눈이 더 커보이고 약간 불쌍한 표정을 연출해 보호 본능을 자극하기 때문입니다.

 

개의 근육 LAOM , RAOL

LAOM, RAOL

  1. Levator anguli oculi medialis (LAOM):
    • 이 근육은 눈 주위에 위치하며 눈을 위로 들어올리는 역할을 합니다.
    • 강아지가 눈을 크게 뜨거나 주위를 둘러보는 행동 등에 사용됩니다.
    • 특히 강아지가 호기심을 느낄 때나 놀라거나 궁금해하는 표정을 만들 때 활발하게 작동합니다.
  2. Risorius anguli oculi lateralis (RAOL):
    • 이 근육은 미소를 짓거나 입을 옆으로 당길 때 사용됩니다.
    • 강아지가 기쁨이나 즐거움을 표현할 때 미소를 지을 때 사용되는 근육 중 하나입니다.
    • RAOL이 활동할 때는 주로 입 주변이 움직이며, 이는 강아지의 기분이나 감정을 표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 두 근육은 강아지의 얼굴 표정을 다양하게 만들어주고, 주인과의 상호 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LAOM은 눈을 크게 뜨고 주위를 둘러보는 호기심 많은 표정을 만들어주고, RAOL은 기쁨과 즐거움을 표현하는 미소를 지을 때 사용됩니다. 함께 작용하여 강아지의 얼굴이 다양한 감정을 표현할 수 있게 합니다.

 

 

개 : 마음을 자극 하는 표정

피츠버그의 듀케인 대학 연구팀은 개의 얼굴 근육이 빠른 수축 속도를 가진 속근으로 주로 이루어져 즉각적인 표정 변화에 유리하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연구팀은 개의 얼굴 근육 구성이 사람과 유사해, 사람과 개 간의 관계를 개선하는 데 기여한 것으로 추정합니다. 특히, 개의 근육은 사랑스럽고 순진한 표정을 만들어냄으로써 사람들의 호감을 사로잡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입니다. 덕분에 사람은 개가 마치 사람처럼 감정을 표현한다고 착각하게 만든다고 합니다. 실제로 사람들은 개를 보면서 아기를 볼 때와 비슷한 감정을 느끼며 유기견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눈을 크게 뜰수록 보호소에서 빨리 입양된다는 결과가 있습니다.

 

늑대 : 근엄 진지

이와 대조적으로, 늑대의 경우에는 얼굴 근육 중 속근이 차지하는 비율이 낮아 표정 변화가 느리다는 것이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늑대의 표정이 감정 전달에는 덜 효과적 입니다. 늑대의 표정을 보면 대부분 무표정이며, 딱딱한 인상을 주기 마련입니다.

 

개 : 반려동물 0 티어

연구팀은 이러한 진화적 차이가 개와 늑대의 인간과의 상호 작용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4만여 년 전 인류의 조상이 개를 길들이면서, 인간은 더 효과적으로 감정을 표현하는 개를 선호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합니다. 이 과정에서 개는 빠르게 표정을 지을 수 있게 되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연구팀은 개의 얼굴 근육 변화가 개가 위험을 알리는 데 더 효과적이었을 가능성도 제기했습니다. 개의 경우에는 짖는 소리를 통해 위험을 알리는데, 이때 속근이 사용합니다. 이에 반해 늑대는 주로 울부짖음을 통해 위험을 알리며, 이때는 지근이 사용됩니다.

 

밝혀지지 않은 부분들

연구팀은 개가 사람과 상호작용하면서 사람과 어울리는데 유리하도록 진화 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개 스스로가 진화한 것인지 아님 저런 근육이 발달한 개들이 선택되어서 근육이 발달한 종들이 많아진 것인지는 아직 모릅니다. 길들여진 동물들 중에서도 모두 얼굴 근육 변화를 보이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길들여진 말이나 고양이의 경우에는 야생 동물과의 차이가 개나 늑대만큼 크지 않다는 것이 연구 결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늑대와 가까운 시베리안 허스키는 LAOM이 거의 없으며 RAOL이 적어서 비교적 날카로운 눈빛을 지녔다고 합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개와 늑대 사이의 진화적 차이를 탐구하면서, 인간과 동물 간의 상호 작용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중요한 발견으로 평가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