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려동물 이야기/반려동물

강아지는 포옹을 어떻게 생각할까?

by 더운북극여우 2024. 2. 19.
728x90
반응형

집에 돌아오면 누구보다 반겨주는 반려견이 너무 사랑스럽습니다. 그래서 반려견을 꼭 안아주면 대부분의 반려견은 몸이 뻣뻣해지는데요. 갑작스러운 보호자의 행동에 당황한 것인지, 좋아하는 내색은 없습니다. 매일 매일 안아주고 싶은 우리 반려견, 과연 강아지도 포옹을 좋아할까요?

 

강아지는 포옹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보호자의 품에 안겨 있는 포옹은 강아지를 불편하게 하거나 두렵게 만듭니다.

반려견이 포옹에 대해 불편해하지 않는다면 그건 보호자의 행동을 참고 있는 것일 수 있습니다.

 

왜? 포옹을 안 좋아할까?

포옹은 사람의 표현 방법

  • 강아지는 포옹의 행동을 이해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사람의 표현 방법입니다.

갖혔다고 느끼는 경우

  • 위험으로부터 도망치려는 본능 때문에 빠져나갈 공간이 없으면 불편해 합니다.
  • 몸통을 조이는 느낌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위험으로 받아드릴 수 있죠.

강아지를 포옹했을 때 스트레스 징후 확인 방법

  • 하품을 합니다.
  • 몸이 뻣뻣해 집니다.
  • 눈을 마주치치 않고 고개를 돌립니다.
  • 고래눈을 합니다. (흰자위가 보이는 눈동자)
  • 꼬리를 내리거나 다리 사이로 집어 넣습니다.
  • 빠르게 자신의 코를 핥습니다.

이건 모두 포옹이 불편하다는 신호입니다.

 

포옹을 훈련으로 배우기

포옹은 보호자의 애정 표현이지만 반려견들에겐 진료를 위해 움직이지 못하게 할 때 필요합니다.

 

포옹에 익숙해지는 훈련 방법

  • 강아지 옆에 앉고 천천히 한 팔로 등이나 어깨를 감쌉니다.
  • 침착하거나 몸을 기대는 등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다면 간식을 지급합니다.
  • 한 팔을 더 뻗거나 양팔을 써서 강아지를 품에 깊숙이 압니다.

 

강아지와 포옹을 하고 싶다면

언제든 떠날 수 있도록 느슨하게 대해 감싸준다면 반려견도 주인과의 포옹을 즐길 수 있을 겁니다.

728x90
반응형